흔자
반응형
df 명령어
 

[Linux] df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 공간 표시

df는 disk free의 줄임말로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및 사용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df 마운트 된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 df 용량을 보기 좋은 형식으로 보고 싶다

heun.tistory.com

 

du 명령어
 

[Linux] du 명령어로 특정 디렉토리 용량 확인하기

du는 disk usage의 줄임말로 현재 디렉터리나 특정 디렉터리의 사용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du # 사용법 du [옵션] [파일명] 옵션 # 자주 사용하는 옵션 # 모든 파일의 정보 출력 -a,

heun.tistory.com


df 명령어 vs du 명령어

df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마운트 된 디스크의 사용량을 확인 가능하다.

du 명령어는 파일 및 디렉터리의 디스크의 크기를 확인 가능하다.

 

df의 경우에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블록들을 조회해서 총합을 산출하는 방법이지만 du의 경우 파일트리를 일일이 이동하면서 파일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체인 stat 이용하여 얻은 개별 디렉토리에 할당된 디스크 블록들을 계산하여 더한다.

 

 

df와 du의 차이가 크게 날 경우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대해서 삭제 처리를 한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는다면 deleted 상태로 남게 된다. 

lsof | grep deleted

lsof 명령어를 통해 확인가능하다. 해당 프로세스를 재실행함으로써 해결된다.

반응형
profile

흔자

@heun_n

즐겁게 개발하고 싶은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