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자
반응형

ping

ping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목적지 호스트에 패킷을 보내어 응답 시간과 패킷 손실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유용한 도구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ping 명령어를 사용하여 목적지 호스트에 대한 응답 시간과 패킷 손실률을 확인할 수 있다. 목적지 호스트에서 ICMP 패킷을 수신한 후 응답 패킷을 보내게 되며, 이를 통해 호스트 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ping 명령어는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명령어이며 인터넷 연결 문제나 네트워크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ing 사용방법

ping [옵션] [대상 호스트명 또는 IP 주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ping google.com
# ping google.com
PING google.com (142.251.42.142) 56(84) bytes of data.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1 ttl=55 time=77.7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2 ttl=55 time=77.6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3 ttl=55 time=77.6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4 ttl=55 time=77.9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5 ttl=55 time=77.7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6 ttl=55 time=77.6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7 ttl=55 time=77.7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8 ttl=55 time=77.7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9 ttl=55 time=77.6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10 ttl=55 time=77.6 ms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11 ttl=55 time=78.4 ms

"PING google.com" : "google.com" 도메인에 대한 ping 명령어 실행 

"(142.251.42.142)" : "google.com" 도메인의 IP 주소는 142.251.42.142임을 나타냄 

"56(84) bytes of data." : 각 ping 요청마다 56바이트의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것을 나타냄

"64 bytes from nrt12s45-in-f14.1e100.net (142.251.42.142): icmp_seq=1 ttl=55 time=77.7 ms" : 첫 번째 ping 요청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nrt12s45-in-f14.1e100.net"는 구글의 서버 이름 중 하나이며 "icmp_seq=1"은 이 요청이 첫 번째 요청임을 나타낸다.

"ttl=55"는 이 요청이 55번 라우터를 거쳐서 구글 서버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

"time=77.7 ms"는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 데 소요된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나타낸다.

반응형
profile

흔자

@heun_n

즐겁게 개발하고 싶은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