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ed
sed 명령어는 stream editor의 약자로 주로 텍스트 스트림을 변환하거나 조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다. 이를 통해 파일의 내용을 읽어서 패턴 매칭, 치환, 삭제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ed는 원본 파일을 직접 변경하지 않고, 그 결과를 표준 출력(stdout)으로 보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원본 파일을 변경하려면 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출력 결과를 파일에 저장해야 한다.
sed 예시: old 문자열을 new로 치환
sed 's/old/new/g' filename
filename 파일의 내용 중 old라는 문자열을 new로 전체 치환하고 표준 출력으로 보낸다.
10번째 줄에서 20번째 줄까지 내용을 출력
sed -n '10,20p' filename
특정 범위의 줄을 선택하여 그 내용을 출력하려면 sed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처리해야 한다. 이 명령어는 파일을 수정하지 않고 해당 범위의 내용만 출력한다.
위 출력 내용을 파일로 저장
sed -n '10,20p' filename > newFile
이 명령은 filename 파일에서 10번째 줄부터 20번째 줄까지의 내용을 newFile이라는 기존 파일의 끝에 추가한다.
이 기능들을 잘 활용하면 파일 내용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리눅스에 자동으로 저장되는 대용량의 로그파일의 일정 부분만 출력해서 파일로 저장하고 싶을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응형
'Develop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E: The repository 'file:/cdrom focal Release' no longer has a Release file. 오류 해결 방법 (0) | 2023.06.02 |
---|---|
[Linux] Ubuntu에 ufw(Uncomplicated Firewall)을 사용하여 방화벽 설정하기 (0) | 2023.04.18 |
[Linux] Ubuntu20.04에 Certbot을 이용한 Let'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 발급과 수동 설정 방법 (0) | 2023.04.12 |
[Linux] 우분투에 MySQL 설치하기 (0) | 2023.03.17 |
[Linux] ping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 확인하기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