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펠라 업그레이드란?
이더리움 2.0 Merge 이후에 이루어진 첫 번째 주요 업데이트이며, validator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스테이킹된 이더리움을 처음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됐다. 샤펠라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의 핵심 개발자들이 'The Merge'를 활성화하고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작업을 시작한 지 7개월 만에 이루어졌다. 이로써 이더리움의 환경적 영향력이 크게 감소했으며, 트랜잭션 수수료를 태우는 메커니즘 덕분에 순환 공급량이 대폭 감소했다. Shapella는 상하이와 카펠라를 조합한 말로, 두 가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가 동시에 이루어질 것을 의미한다.
주요 내용?
Shapella 업그레이드는 메인넷 계층인 합의 계층 (비컨 체인)과 실행 계층의 코드를 개선한다. 이더리움 Merge 이후에 스테이킹은 단방향 시스템이었다. 이더리움을 스테이킹 할 수는 있었지만, 인출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Shapella의 목표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의 validator와 사용자들이 스테이킹 된 이더리움을 인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사용자들은 부분 인출(Partial Withdrawal)과 전체 인출(Full Withdrawal) 두 가지 방법으로 인출할 수 있다. 부분 인출은 검증자가 검증 노드를 설립하기 위해 필요한 32 이더리움 초과하는 모든 이더리움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전체 인출은 검증자가 비컨 체인에서 자신의 스테이크를 완전히 종료하고, 초기의 32 이더리움과 함께 누적된 보상이나 패널티를 모두 인출할 수 있게 해준다. 검증자 스테이킹 인출을 네트워크에서 가능하게 하는 이더리움 개선 제안(EIP) 4895이다. 개발자들은 또한 Shapella 내에서 네트워크의 특정 활동에 대한 트랜잭션 수수료를 최적화하는 추가 사양을 계획하고 있다.
업그레이드에 대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Releases · ethereum/go-ethereum
Official Go implementation of the Ethereum protocol - ethereum/go-ethereum
github.com
EIP-4895
EIP-4895: Beacon chain push withdrawals as operations
Support validator withdrawals from the beacon chain to the EVM via a new "system-level" operation type.
eips.ethereum.org
샤펠라 업그레이드의 효과?
Shapella 업그레이드 이후, 이더리움의 생태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스테이킹된 이더리움을 인출할 수 있는 능력은 이용자들이 이전에 잠겨 있던 자금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며 자산을 배치하는 데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이전에 잠겨 있던 자금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 가격 변동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이용자들이 자신의 자금을 스테이킹했을 때보다 이더리움의 가격이 현재 더 낮기 때문에, 이들 소지자들은 손실을 보고 싶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테이킹된 이더리움 파생 상품의 가격과 그들이 대표하는 이더리움의 명목 가치 사이의 격차는 새로운 차익 거래 기회가 생기면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기관 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입되고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ence
"샤펠라 업그레이드 후 이더리움에 기관 투자자 자금 유입"
"샤펠라 업그레이드 후 이더리움에 기관 투자자 자금 유입", 뉴스
www.hankyung.com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Ethereum Shapella upgrade
The Ethereum Shapella upgrade will allow users and validators to withdraw staked ether for the first time.
www.theblock.co
'Blockchain > Ethereum'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 go-ethereum 분석하기: geth JavaScript 콘솔에 접속하는 방법 (0) | 2023.05.24 |
---|---|
[이더리움] 블록 '17034872'에서 이더리움 동기화가 왜 멈췄을까? 원인 분석 및 해결 방법 (0) | 2023.05.09 |
[이더리움] 이더리움 노드 모니터링(Health check)을 위한 간단한 Node.js 구축하기 (0) | 2023.04.27 |
[이더리움] 이더리움 2.0: 최신 업데이트 및 개발 동향 분석 (2) | 2023.03.17 |
[이더리움] 이더리움 클라이언트의 역할과 종류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