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wn 은 change file owner and group의 줄임말로 파일 및 디렉터리의 소유자와 그룹의 권한을 변경한다. chown chown [옵션] [소유자][:[그룹]] [파일명] # ls -al -rw-r--r-- 1 root root 31 Jan 20 21:45 test.txt 소유자: root 그룹: root 소유자만 변경 chown test test.txt # 소유자 test로 test.txt 권한 변경 -rw-r--r-- 1 test root 31 Jan 20 21:45 test.txt 소유자와 그룹 모두 변경 chown test:test test.txt # 소유자 test, 그룹 test로 test.txt 권한 변경 -rw-r--r-- 1 test test 31 Jan 20 21:..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확인하기 docker ps docker ps ps (process status) : 프로세스 상태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CONTAINER ID - 컨테이너 아이디 IMAGE - 컨테이너 실행 시 사용한 도커 이미지 COMMAND - 컨테이너 실행 시 명령어 CREATED - 실행 시간 STATUS - 컨테이너 상태 1) UP - 실행 중 2) Exited - 종료 상태 3) Pause - 일시 정지 PORTS - 포트 번호 NAMES - 컨테이너의 고유한 이름 컨테이너 실행 시 --name 옵션 추가하지 않을 경우 임의로 지정된다. -a 옵션 추가 docker ps -a -a : all 옵션을 추가해서 실..
tail 명령어는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파일들을 특정 옵션들을 추가하여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다. 주로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명령어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tail tail [옵션] [파일명] 예시 # test.log를 실시간으로 확인 tail -f test.log # tail -f test.log 출력 root@ubuntu:/home/test# tail -f test.log 1. test1 2. test2 3. test3 4. test4 옵션 # 자주 사용하는 옵션 # 파일을 실시간으로 계속 출력 -f, --follow[={name|descriptor}] # headers를 출력하지 않고 내용만 출력 -q, --quiet, --silent # 지정 바이트만큼 내용을 출력 -c, --bytes=[+]NUM ..
grep은 특정 패턴과 일치하는 파일을 찾아서 출력하는 명령어다. grep은 find, ps와 같은 다른 명령어와 함께 쓰는 경우에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grep # 사용법 grep [옵션] [패턴] [파일명] /home/test/test.txt 테스트를 진행한 test.txt의 파일 내용 # test.txt 내용 1. test [test] 2. test 3. test 파일명을 디렉터리로 잘 못썼을 경우 # 파일명을 디렉토리로 쓰게 되면 출력되는 문구 root@ubuntu:/home/test# grep 'test' /home/test grep: /home/test: Is a directory 특정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 찾기 # /home/test/test.txt 파일에 'test' 문자열 찾기 gr..
Docker 설치 이전 버전 Docker 제거 이전 버전의 도커가 있다면 삭제 아닌 경우 건너뛴다. sudo apt-get remove docker docker-engine docker.io containerd runc 저장소를 사용하여 설치 HTTPS를 통해 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패키지 인텍스를 업데이트 하고 패키지를 설치한다. #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 ca-certificates \ curl \ gnupg \ lsb-release Docker의 공식 GPG키를 추가한다. # keyrings 디렉토리 생성 sudo mkdir -p /etc/apt/keyrings # GPG 키 추가 curl -fsSL https..
du는 disk usage의 줄임말로 현재 디렉터리나 특정 디렉터리의 사용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du # 사용법 du [옵션] [파일명] 옵션 # 자주 사용하는 옵션 # 모든 파일의 정보 출력 -a, -all # 바이트 사이즈 출력 -b, --bytes # 각 인수에 대한 합계 출력 -s, --summarize # 읽기 편한 방식으로 출력 -h, --human-readable # 전체 정보 출력 -c, --total 현재 경로의 용량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 읽기 편한 방식으로 합계를 출력 du -sh # du-sh 결과 236M . /home/test 경로의 디렉토리의 용량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du -sh /home/test # du -sh /home/test 결과 12K /ho..

Node.js에서 EventEmitters는 특정 이벤트에 대해 10개 이상의 리스너가 추가되면 경고를 출력한다. 오류 node:8348) MaxListenersExceededWarning: Possible EventEmitter memory leak detected. 16 uncaughtException listeners added to [process]. Use emitter.setMaxListeners() to increase limit 나의 경우 리스너가 10개를 초과하여 아래의 함수를 사용해 이벤트 등록 개수를 제한 해제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지만 계속해서 동일한 오류가 발생했다. # 계속해서 오류 발생 process.setMaxListeners(15); 해결 방법 require('events..
좀보이드 테스트 플레이 진행중에 "서버에서 추방 되었습니다." 라는 멘트와 함께 플레이중인 유저가 서버에서 튕기는 현상이 생겼다. 로그 확인 결과 gameserver.kick> the player test was kicked. the reason was ui_policy_kick, type21 ui_policy_kick의 이유로 추방되었고, type은 21이라는 걸 확인가능했다. # test라는 유저의 추방 로그 gameserver.kick> the player test was kicked. the reason was ui_policy_kick, type21 원인을 찾아보니 Servername.ini 파일안에 있는 안티치트 "true" 설정이 문제였다. 설정을 모두 "true" 에서 "false"로 변경..

Reference GitHub - tronprotocol/java-tron: Java implementation of the Tron whitepaper Java implementation of the Tron whitepaper. Contribute to tronprotocol/java-tr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하드웨어 요구사항 Minimum: CPU with 8 cores 16GB RAM 2TB free storage space to sync the Mainnet Recommended: CPU with 16+ cores(32+ cores for a super representative) 32GB+ RAM(64GB+ ..
참고 GitHub - Renegade-Master/zomboid-dedicated-server: Linux based Docker image containing a Dedicated Server for Project Zomboid. Linux based Docker image containing a Dedicated Server for Project Zomboid. - GitHub - Renegade-Master/zomboid-dedicated-server: Linux based Docker image containing a Dedicated Server for Project Z... github.com 프로젝트 좀보이드라는 스팀게임을 친구들과 하다가 로컬로 돌리고 있는 서버가 여러 이슈로 인해서 게임이..
[Node.js] 백그라운드 실행과 모니터링 패키지 pm2 설치하기 - 1에 이은 2번째 포스팅이다. 1편에서는 설치방법에 대해서 다뤘다면 2편에서는 pm2 명령어 사용과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다루려고 한다. [Node.js] 백그라운드 실행과 모니터링 패키지 pm2 설치하기 - 1 [Node.js] 백그라운드 실행과 모니터링 패키지 pm2 설치하기 - 1 pm2 Node.j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node app.js 와 같은 node 실행 명령어나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고 싶을 경우 nohup으로 실행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 node 실행 node app.js 해당 경험을 가지 heun.tistory.com 테스트 환경 경로 : /data/test/test.js /data/test 경로에..
pm2 Node.j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node app.js 와 같은 node 실행 명령어나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고 싶을 경우 nohup으로 실행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 node 실행 node app.js 해당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Node.js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패키지다. pm2는 Node.js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세스 관리자이며, 로드 밸런서가 빌트인 되어있다. pm2 설치 nvm 설치 pm2를 설치하려면 우선 nvm을 설치해야 한다. https://github.com/nvm-sh/nvm 에서 명령어 확인 가능하다. wget -q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nvm/v0.37.2/ins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