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자
반응형
[Linux] hostname, ifconfig로 나의 IP 주소를 확인하기
Develop/Linux 2023. 1. 11. 22:57

hostname hostname은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을 표시하거나 설정할 때 사용한다. -I( --all-ip-addresses ) 옵션을 추가하면 나의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etc/hostname 파일에 hostname 또한 확인가능하다. hostname -I 172.30.1.xx ifconfig ifconfig 명령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명령어 입력 시에 2번째 줄 inet 뒤에 있는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ifconfig enp1s0: flags=4163 mtu 1500 inet 172.30.1.xx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72.30.1.255 inet6 fe80::1e1b:dff:fe4c:74ca prefi..

article thumbnail
[Linux] ps 명령어로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하기
Develop/Linux 2023. 1. 10. 13:55

ps는 process status 명령어 줄임말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ps의 메뉴얼에 따르면 ps는 report a snapshot of the current processes.로 설명된다. ps ps [옵션] ps -e로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확인 ps -e PID TTY TIME CMD 1 ? 00:00:01 systemd 2 ? 00:00:00 kthreadd 3 ? 00:00:00 rcu_gp 4 ? 00:00:00 rcu_par_gp 6 ? 00:00:00 kworker/0:0H-kblockd 8 ? 00:00:00 mm_percpu_wq ... ps -f로 실행중인 프로세스의 모든 정보를 확인 ps -f 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

[Java] javax.crypto.BadPaddingException: Given final block not properly padded 오류
Develop/Java 2023. 1. 6. 12:49

암호화(Encryption)한 암호문을 복호화(Decryption) 처리할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예상 가능한 원인 암호화(Encryption) , 복호화(Decryption) 방식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Encryption의 암호화 알고리즘과 Decryption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서로 다른 경우 ex) SHA-256, SHA-512 비밀 key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암호화할 때 사용한 비밀키(key, iv)와 복호화 할때 사용한 비밀키(key, iv)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칭키 암호화 방식은 암호화 복호화시 사용하는 비밀키가 일치해야 한다. 평문이 null인 경우 암호화하려는 평문이 없거나 올바르지 않을 경우

article thumbnail
[Linux] find 명령어로 파일이나 디렉토리 찾기
Develop/Linux 2023. 1. 5. 15:05

find는 명령어는 Linux 파일 시스템(디렉터리 계층구조)에서 파일을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다. 기본 디렉토리는 현재 경로이며, 기본 표현식은 -print이다. find 기본적인 사용법은 find [-H] [-L] [-P] [-Olevel] [-D debugopts] [path...] [expression]이다. find [옵션] [경로] [표현식] name 표현식 사용법 find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현식은 -name이다. name은 파일명으로 찾는 방식이다. 현재 경로에서 whhh로 시작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 찾기 find . -name "whhh*" 현재 경로에서 whhh로 끝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 찾기 find . -name "*whhh" 현재 경로에서. txt 확장자 파일 모두 찾기 fi..

article thumbnail
[Linux] df 명령어로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 공간 표시
Develop/Linux 2023. 1. 3. 09:26

df는 disk free의 줄임말로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및 사용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df 마운트 된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 df 용량을 보기 좋은 형식으로 보고 싶다면 -h(human readable의 약자) 옵션을 붙여주면 된다. df -h 자세한 옵션은 df --hel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eference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 공간 표시(df 명령) df 명령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및 사용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FileSystem 매개변수는 파일 시스템이 상주하는 장치 이름,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된 디렉토리 www.ibm.com df (유닉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

article thumbnail
[Linux] mv 명령어로 디렉토리, 파일 이름 변경하기
Develop/Linux 2023. 1. 2. 17:05

mv는 move의 줄임말로 디렉터리, 파일을 이동할 때 사용한다. mv명령어를 경로를 이동하지 않고 현재 경로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mv mv [변경하고 싶은 파일명] [새로운 파일명] test.txt 파일을 okay.txt 파일로 변경하고 싶을 경우 mv test.txt okay.txt test.txt 파일을 기존 경로와 다른 경로에 okay.txt로 변경하고 싶을 경우 mv test.txt /home/test/okay.txt 자세한 옵션은 mv --help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Linux] dd 명령어로 디스크 읽기 및 쓰기 성능 측정
Develop/Linux 2023. 1. 2. 10:41

쓰기 성능 측정하기 dd if=/dev/zero of=/home/test/deleteme.dat bs=32M count=64 oflag=direct if 경로인 /dev/null을 of경로에 쓰기 위한 명령어 if(input file): 입력 파일 of(output file): 출력 파일 bs(block size) : bytes로 사이즈를 의미 count: 입출력 수행 횟수 파일의 크기: bs * count 읽기 성능 측정하기 읽기 성능 측정하는 방법은 쓰기 성능을 측정 명령어의 반대로 작성 dd if=/home/test/deleteme.dat of=/dev/null bs=32M count=64 iflag=direct

[Linux] ln -s 심볼릭 링크 생성 및 삭제 명령어
Develop/Linux 2022. 12. 29. 17:32

심볼릭 링크란?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쉽게 접근하는 바로가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심볼릭 링크 심볼릭 링크 생성 ln -s [대상 경로] [링크 경로] 현재 경로에서 /home/test 경로에 testSym이라는 링크를 생성 ln -s /home/test testSym 심볼릭 링크 삭제 rm 명령어를 통하여 심볼릭 링크를 삭제할 수 있지만 해당 명령어를 통해 원본파일이 삭제될 수 있으므로 unlink 권장 unlink [링크 경로] rm [링크 경로]

article thumbnail
[Linux] .tar 파일 압축 및 압축 해제
Develop/Linux 2022. 12. 28. 16:28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해제를 하고 싶을 경우 tar 명령어를 사용한다. tar tar 명령어 옵션 확인 다양한 옵션들을 확인하고 싶다면 --help 옵션 추가하여 명령어 실행 tar --help tar로 압축하기 tar -cvf [파일명.tar] [압축하려는 파일명] -c : create a new archive (파일을 tar로 압축) -v : verbosely list files processed (처리되는 파일을 상세하게 나열) -f : use archive file or device ARCHIVE (파일 이름을 지정) tar로 압축 해제하기 tar -xvf [파일명.tar] -x : extract files from an archive (tar 파일 압축 해제) -v : verbo..

이더리움 메인넷, 테스트넷 RPC URL 검색 사이트
Develop/기타 2022. 12. 27. 12:48

개발 중 테스트를 진행하다 보면 Ethereum mainnet과 testnet의 rpc endpoint가 필요한 상황이 적지 않게 있다. 쉽고 많은 정보를 제공받은 사이트를 공유하고자 한다. RPC URL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때 참고하면 좋은 사이트 Ethereum Mainnet RPC and Chain settings | Chainlist chainlist.org 상단에 Include Testnets 를 체크하면 테스트넷 검색이 가능하다. 찾고 싶은 네트워크의 chainId를 알고 있다면 https://chainlist.org/chain/5 url 뒤에 있는 번호를 원하는 chainId로 변경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예시 이더리움 메인넷: https://chainlist.org/chain/1 이더리..

article thumbnail
[Linux] 실시간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도구 nethogs 설치 방법
Develop/Linux 2022. 12. 26. 10:53

nethogs는 서버에서 구동 중인 데몬 레벨로 트래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이다. 여기서 트래픽이란, 서버와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에서 일정 시간 내에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 트래픽이 많다는 것은 사용자 접속이 많아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데몬이란, 리눅스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이다. 정리하면 nethogs는 백그라운드로 진행중인 프로세스에 대해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어느 정도 되는지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오픈소스 도구이다. nethogs nethogs 설치 sudo apt-get install nethogs nethogs 실행 sudo nethogs nethogs 옵션 확인 sudo nethogs -h..

[Linux] 현재 경로에서 디렉토리 및 파일 개수 세기
Develop/Linux 2022. 12. 23. 16:00

테스트 결과는 위 사진의 환경에서 진행하여 나온 결과 값이다. 현재 경로에서 디렉터리의 개수 ls -l | grep ^d | wc -l 디렉터리는 test_directory, test2_directroy 총 2개이며, 결과값이 2가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경로에서 파일의 개수 ls -l | grep ^- | wc -l 파일은 test.sh, test2.sh, test3.sh 총 3개이며, 결과값이 3이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